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국민연금 수령전 사망시 연금 계산 방법

by 뉴블러드 2022. 5. 1.

국민연금 수령전 사망시에는 유족연금이라는 형태로 지급이 됩니다. 이는 수령 중에도 마찬가지입니다. 하지만 국민연금 수령전 사망시 연금은 기존 수급자가 원래 받아야하는 금액보다는 적습니다. 또한 유족연금을 받으려면 3가지 기준 중에 한가지를 충족해야 합니다. 오늘 포스팅을 통해 국민연금 수령전 사망시 연금 계산 방법과 더불어 자격 요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국민연금 수령전 사망시 연금 수령 조건

먼저 국민연금 수령전 사망시 유족들이 연금을 받기 위해서는 몇 가지 조건이 충족이 되어야 합니다. 만약 아래의 3가지 기준에 충족이 안되는 경우 연금의 형태가 아닌 일시금 형태로 지급이 됩니다.

 

  • 국민연금 가입기간이 10년 이상인 경우
  • 사망일을 기준으로 최근 5년 중 3년 이상 국민연금을 납부한 경우
    (미납 기간이 3년 이상인 경우는 제외)
  • 전체 가입대상 기간 중 1/3 이상 납부한 경우

 

 

국민연금 가입기간은 일반적으로 연금을 수급하기 위해 최소 가입기간을 의미를 합니다. 하지만 이 가입기간을 충족하지 못하더라도 유족연금은 지급 가능합니다. 사망일 기준으로 최근 5년 중 3년 이상 국민연금을 납부한 경우에는 유족연금 지급이 가능합니다. 또한 전체 가입대상 기간인 10년 중 1/3 이상 납부를 한 경우에도 유족연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단 미납 기간이 3년이상이 되는 경우에는 제외됩니다.

 

 

위의 조건을 만족하지 못한다면 국민연금 수령전 사망시 연금은 모두 반환일시금으로 지급이 됩니다. 따라서 유족연금을 받기 위해서 자격 요건이 되는지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위의 자격 요건이 된다고 하더라도 분명히 여러가지 경우의 수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본인과 배우자가 모두 국민연금을 수령 중이었으나 배우자가 사망한 경우 중복 수급 가능 여부, 배우자의 연금이 더 많은 경우 어떻게 할 수 있는지 등 여러가지 경우의 수가 나올 수 있습니다. 각 상황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국민연금 수령전 사망시 연금 계산 방법

가입기간에 따라 국민연금 수령전 사망시 연금은 달라지게 됩니다. 가입기간이 10년 미만인 경우 기본연금액의 40%, 10년 이상에서 20년 미만은 50%, 20년 이상은 60%가 유족연금 형태로 지급이 됩니다. 여기에다가 부양가족연금액을 추가로 더 받을 수 있습니다. 부양가족연금액은 연단위로 지급이 되는 돈이며 20~30만원 수준으로 크지 않습니다. 따라서 대략 퍼센티지만 아셔도 계산이 가능합니다. 

 

△ 부양가족 연금 수급 금액 (가족수당)

 

간단히 계산을 해보면 100만원의 국민연금 수령전 사망시 가입기간에 따라 최대 60만원이 유족연금으로 지급이 되게 됩니다. 여기에 가족 수당까지 하면 62만원 정도 될텐데요. 하지만 본인도 수급자인 경우 중복으로 받을 수 있을까요?

 

유족연금과 국민연금 중복 수급 가능 여부

결론만 말씀드리면 원칙적으로는 중복 수급은 불가능합니다. 그렇다면 좀 억울할수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배우자는 100만원을 연금으로 받고 있고 본인은 50만원을 받는 경우 중복으로 받지 못하니 모호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둘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즉 유족연금을 선택하면 가입기간에 따라 차이가 있겠지만 최대 60만원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더 이득이라고 생각하실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예외의 경우에서는 중복 수급이 가능합니다. 유족연금을 포기하고 본인의 연금을 선택하는 경우에는 유족연금과 국민연금을 중복하여 수급이 가능합니다. 이게 무슨 의미냐고 생각하실 수 있습니다. 유족연금을 포기하면 유족연금의 30%를 18만원내로 지급을 해줍니다. 즉 유족연금을 포기하면 100만원 중 18만원을 받을 수 있다는 이야기입니다. 이런 경우 본인 연금에다가 18만원을 더하면 68만원이므로 조금 더 이득입니다.

 

결론

유족연금과 국민연금은 원칙적으로는 중복수급이 불가능하지만 유족연금을 포기하면 배우자의 연금의 30%를 18만원 이내로 추가 지급이 됩니다. 따라서 연금을 계산을 해보고 둘 중 하나를 선택하시면 되겠습니다.

 

 

국민연금 관련 글 더보기

 

△ 기초연금 부부수령액 부부가구 정리

 

△ 기초연금과 노령연금 차이 동시수령 여부

 

△ 국민연금 최고수령액 알아보기, 최고납부액 정리

 

△ 국민연금 일시금 수령조건 수령방법

 

△ 국민연금 납입기간 납입나이 정리

 

△ 국민연금 수령시 소득이 있는 경우 감액 기준 정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