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청년희망적금이 적금에 대한 인식을 바꾸고 매우 파격적인 상품 중 하나였습니다. 하지만 그것보다 더 강력한 청년 정책이 나옵니다. 바로 청년도약계좌입니다. 요약을 하자면 청년이 저축을 하면 정부에서 매칭지원금을 주고 이를 통해 1억 원 목돈을 마련할 수 있도록 지원을 해준다는 내용이 주요 골자입니다. 도대체 어떤 방식으로 하길래 1억 원이나 목돈을 만들 수 있도록 지원을 해줄까요? 상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청년도약계좌 개요
청년도약계좌는 윤석열 당선인의 첫 번째 청년 금융 공약 중 하나입니다. 청년희망적금을 기존보다 확대하고 청년도약계좌를 도입하여 청년이 목돈을 만들 수 있도록 정부에서 도와주는 제도입니다. 아무래도 최근 부동산 가격 상승에 따른 자산을 형성할 수 있는 기회가 상대적으로 박탈됨에 따라 이러한 류의 정책들이 많이 나오고 있습니다.
청년희망적금보다 훨씬 혜택이 많다 보니 벌써부터 관심이 가져질 수밖에 없습니다. 하지만 세대별 형평성 부족, 예산 부족, 실효성 여부 등과 같이 다양한 이슈도 따라고 오고 있습니다. 먼저 청년도약계좌 혜택부터 살펴보고 가입조건과 여러 이슈에 대해서도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청년도약계좌 혜택
일정 한도 내에서 저축을 하면 정부가 가입자 소득에 따라 장려금을 지급하는 형태로 청년도약계좌 혜택이 주어집니다. 이처럼 최대한도로 10년 동안 저금을 한 경우 최대 1억 원 목돈이 마련될 수 있도록 하는 것입니다. 일반적으로 저금을 한다면 년간 1000만 원, 월로 친다면 80만 원이 좀 넘는 금액을 10년간 저금을 해야 모을 수 있는 돈입니다. 그렇다면 어떤 식으로 1억을 만들어 준다는 이야기일까요?
핵심은 월 70만 원씩 저금을 하면 3.5% 복리로 10년을 납입을 하게 되면 1억이 된다고 합니다. 즉 바꾸어 말하면 소득에 따라 일정 금액을 정부에서 매월 지원금을 준다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아래는 아직 확정된 부분은 아니지만 국민의힘 정책공약집에 따른 내용입니다.
- 연소득이 2400만 원 이하인 경우 : 매월 30만 원 저축 시 정부가 40만 원 지원
- 연소득이 3600만 원 이하인 경우 : 매월 50만 원 저축 시 정부가 20만 원 지원
- 연소득이 4800만 원 이하인 경우 : 매월 60만 원 저축 시 정부가 10만 원 지원
- 연소득 4800만 원 초과한 경우 : 매월 70만 원 저축 가능 (비과세, 소득공제)
연소득이 2400만 원 이하인 경우 거의 100%를 추가 지급을 해준다는 내용인데요. 반대로 생각하면 연간 급여가 480만 원가량 오른다고 봐도 무방할 정도입니다. 즉 연소득 2400만 원인 경우 연소득이 2880만 원이 되어버리는 효과이기도 합니다. 오히려 소득이 2500만 원인 사람보다 더 높아버리게 되겠네요.
어쨌든 지 청년 도약 계좌 혜택의 핵심은 소득에 따라 제한이 없으며 소득이 많은 경우 비과세 이자와 더불어 소득공제를 준다고 하니 사실상 엄청난 혜택이기도 합니다.
청년도약계좌 가입조건
현재까지 알려진 청년도약계좌 가입조건은 만 19~34세 청년입니다. 즉 87년생까지 현재까지는 가입이 가능합니다. 다만 유사제도와의 중복가입은 제한이 되고 있습니다. 즉 청년희망적금과 중복가입은 되지 않습니다. 어찌 보면 현재 청년희망적금을 가입한 사람들은 억울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현재 청년도약계좌 가입조건 검토 시 희망적금 가입한 사람이 갈아탈 수 있도록 방안을 마련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또 다른 청년도약계좌 가입조건은 기본적으로 소득이 있어야 합니다. 소득이 없는 경우에는 청년희망적금과 마찬가지로 가입이 불가능합니다. 하지만 아직까지는 청년도약계좌 가입조건이 결정되거나 그런 부분들은 없으니 오늘 내용은 참고사항 정도로 알고 계시면 될 듯합니다.
청년도약계좌 주요 이슈
청년희망적금 때도 동일하게 세금을 많이 낸 세대에서 불만이 많습니다. 아무래도 그러한 세대에서 나온 세금들로 혜택을 주기 때문입니다. 즉 형평성 논란입니다. 또한 청년도약계좌 가입조건 또한 주요 이슈가 될 수 있습니다. 또한 청년희망적금에서 청년도약계좌로 갈아탈 때 청년도약계좌 가입조건 때문에 드라이브가 걸린다면 그것 또한 큰 이슈가 될 수 있습니다.
이렇듯 아직까지는 청년도약계좌 가입조건부터 혜택까지 많은 이슈가 있을 것입니다. 아무래도 불평등이지 않을까 합니다. 연소득이 2400만 원 이하인 경우 사실 거의 엄청난 혜택이기 때문에 여러 가지 이슈가 생길 수밖에 없습니다. 이렇듯 현재 정부는 청년에 대한 관심이 상당히 많습니다. 이미 많은 정책들도 진행이 되었습니다. 아래는 청년 관련된 돈이 되는 정보들을 깔끔하게 정리를 해두었습니다. 읽어보시면 큰 도움이 되실 것입니다.
결론
정권이 바뀌면서 현재 엄청난 정책들이 쏟아질 것입니다. 그중에서도 본인에게 맞는 많은 정책들이 나올 수도 있을 텐데요. 청년 도약계좌처럼 혜택이 많은 정부제도는 여전히 많습니다. 그러한 것들 먼저 챙기는 것도 좋지 않을까 합니다. 아래는 청년 정책 이외에도 수많은 정부지원금을 받을 수 있는 방법들을 정리해둔 포스팅입니다. 읽어보시면 돈이 되는 정보 얻으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