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청년들 대상으로 많은 사업들을 하고 있습니다. 저 역시 청년이다 보니 이러한 정책에 관심을 가질 수밖에 없습니다. 그중 기존에 있었던 청년 내일저축계좌 대상이 2022년부터는 큰 폭으로 변경이 되어서 상세하게 정리를 해보려고 합니다. 최근 청년 희망적금이 상당히 이슈였지만 청년 내일저축계좌도 상당히 혜택이 좋습니다. 따라서 변경된 부분을 모르셨다면 오늘 포스팅에서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청년 내일저축계좌 혜택
최근 적금이 다시 대세가 되기 시작하면서 조금 더 많이 주는 적금에 대해 관심이 많이 생깁니다. 청년 내일저축계좌는 이렇듯 적금에 관심이 있으신 분들이 라면 매우 추천드릴만한 혜택이 많습니다. 먼저 청년 내일저축계좌가 어떤 혜택을 주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본인 저축액 매월 10만원 + 정부지원금 매월 30만 원 = 월 40만 원씩 저축이 됩니다.
- 이에 따라 매월 10만원만 입금을 하면 3년 뒤에 총 720만 원~1440만 원을 지원받게 됩니다.
- 즉 3년 만기 지급해지 시 총 1080만 원 지원을 하게 됩니다.
청년 내일저축계좌의 혜택만 보면 엄청난 혜택입니다. 근로소득이 있는 경우라면 매월 10만 원 정도는 결코 부담스러운 금액이 아닐 텐데요. 이러한 것들만 보면 당장이라도 청년 내일저축계좌는 신청하셔야만 합니다. 다만 이렇게 좋은 정부지원금 경우 자격요건이 조금 까다로울 수 있습니다. 하지만 올해부터는 확대 적용이 되기 때문에 가능할 수도 있는 점인데요. 따라서 이러한 부분 꼭 확인하시고 청년 내일저축계좌는 신청하셔야만 합니다.
청년 내일저축계좌 대상자
1. 소득기준
기존에는 소득인정액이 중위소득의 50% 이하였습니다. 즉 주거, 교육급여 수급가구 또는 차상위가구의 청년이 해당 사항이었다고 보시면 됩니다. 하지만 이번에는 소득인정액이 중위소득 100% 이하로 변경이 되었습니다. 즉 엄청나게 확대되었다고 보시면 되는데요.
소득인정액은 위의 계산기로 계산을 해보시고 중위소득도 확인을 해보시길 바랍니다. 1인 가구로 치자면 월 소득이 90만 원 정도 되어야 청년 내일저축계좌를 신청할 수 있지만 이제는 월 190만 원 정도를 받아도 가능하다는 의미입니다. 엄청나게 확대가 되었기 때문에 변경된 소득 기준은 필수 확인이 필요합니다.
- 단 소득기준이 변경된 만큼 차상위 계층 이하가 아닌 경우 정부지원금은 30만원이 아닌 10만 원입니다. 따라서 3년간 360만 원의 지원을 받게 됩니다.
2. 근로기준
위의 소득에 해당이 되면서 현재 근로를 하고 있는 상황이어먄 합니다. 즉 근로소득 또는 사업소득이 있는 경우에만 청년 내일저축계좌가 신청이 가능합니다. 이에 따라 해당되는 서류는 무조건 있어야 하며 3개월 이상의 근로 및 사업 소득이 발생한 경우에만 청년 내일저축계좌 대상이 됩니다.
- 다만 근로장학금, 무급근로, 실업급여, 육아휴직수당, 재정 지원 일자리 사업, 사회적 일자리 서비스 사업에 참여하고 있는 경우에는 지원이 불가능합니다.
- 희망키움 통장 2에 가입 중인 경우 기존 희망키움 통장 2 환수 해지 후 신규가입을 해야 합니다.
3. 연령기준
나이는 만 15세 ~ 39세 이하가 가입 가능합니다. 다만 차상위계층과 차상위계층을 초과하는 경우 연령기준이 다르게 적용이 됩니다.
- 차상위계층 이하인 경우 : 만 15세~39세
- 차상위계층 초과인 경우 : 만 19세~34세
이처럼 정부지원금 중에서는 자격요건이 변동이 되어서 올해부터는 해당이 되는 지원금이 상당히 많습니다. 그러한 것들을 놓치지 않고 챙기시길 바랍니다. 저 역시도 숨은 정부지원금 찾기를 통해서 상당한 혜택을 받은 경험이 있으니 여러분들도 꼭 해보시길 바랍니다.
[자격요건이 변동이 된 다른 정부지원금 알아보기]
청년 내일저축계좌 시행 시기 (2022년)
청년 내일저축계좌는 22년 7월부터 시작이 됩니다. 차상위계층 이하뿐만 아니라 차상위 초과 기준 중위소득 100% 이하인 사람들도 모두 신청이 가능합니다. 아직 시간이 많이 남았으므로 내용만 알고 계시면 도움이 되실 듯합니다.
결론
오늘은 청년 내일저축계좌 혜택과 대상, 2022년 시행 시기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과거 차상위계층밖에 지원이 안되어서 모르시는 분들이 많았지만 올해부터는 변경된 사업으로 진행이 됩니다. 물론 혜택은 조금 낮지만 그래도 매월 10만 원씩 정부에서 지원해주는 것만 해도 대단히 좋은 사업이라고 생각합니다.